최근에 TDD를 다시 보게 되면서, 혼자 끄적이던 생각과 고민이 조금씩 정리가 되었습니다.사실 처음에는 TDD를 그냥 '테스트 코드 먼저 작성하는 방식'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요,이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테스트가 코드의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는 걸 체감하게 되었습니다.TDD는 단순히 테스트를 먼저 짜는 게 아니더라구요보통은 기능을 먼저 구현하고 테스트 코드를 나중에 붙이는 경우가 많잖아요? 그런데 TDD는 반대입니다.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코드를 작성한 뒤, 마지막에 리팩토링을 진행합니다.이게 단순히 순서만 바뀌는 게 아니라, "어떻게 코드를 짤 것인가" 자체가 달라집니다. 단계 설명Red실패하는 테스트를 먼저 작성합니다Green테스트를 통과시키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