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Java 백엔드 실무 면접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제가 실제 경험한 면접 질문들과 그에 대한 모범 답변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저도 면접을 준비하면서 블로그나 깃허브 등을 많이 참고했었는데, 실제로 실무에서 많이 나오는 질문과 그 의도를 이해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더라고요. 이 글이 여러분의 면접 준비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Java, Spring Boot, JPA, REST API, Redis, JWT 인증 같은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해볼게요.
1. Java 백엔드 실무 면접에서 자주 나오는 질문들
Q1. Java에서 HashMap과 ConcurrentHashMap의 차이점은?
의도: 멀티스레드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보려는 질문이에요.
모범 답변:
HashMap은 쓰레드에 안전하지 않아서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동기화 없이 사용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ConcurrentHashMap은 내부적으로 Segment 또는 Bucket을 나누어 병렬 처리를 지원하므로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완전한 동기화를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Collections.synchronizedMap()을 써야 할 수도 있습니다.
Q2. REST API에서 PUT과 PATCH의 차이는?
의도: HTTP 메서드의 의미와 REST 설계 원칙에 대한 이해도를 보는 질문입니다.
모범 답변:
PUT은 리소스 전체를 대체할 때 사용하고, PATCH는 리소스의 일부만 수정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회원 정보 수정 시 이름, 이메일 등 전체를 수정할 땐 PUT, 특정 필드만 바꿀 땐 PATCH가 더 적절합니다. 실무에서는 PATCH를 잘못 사용해서 API가 혼란스러워지는 경우도 있었어요. 그래서 명확하게 사용하는 게 중요합니다.
Q3. JPA에서 N+1 문제란?
의도: ORM 사용에 따른 성능 이슈를 알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질문이에요.
모범 답변:
N+1 문제는 하나의 쿼리로 데이터를 조회한 후, 연관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N개의 추가 쿼리가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게시글 목록을 조회하면서 작성자 정보를 함께 조회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fetch join이나 @EntityGraph를 사용하거나, 상황에 따라 BatchSize 설정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2. Spring Boot 관련 실무 질문
Q4. Spring에서 의존성 주입 방식은 어떤 게 있나요?
의도: DI에 대한 기본 개념을 확인하는 질문입니다.
모범 답변:
Spring에서는 생성자 주입, 필드 주입, 세터 주입 세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생성자 주입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final 필드를 통해 불변성을 유지하고, 테스트 코드 작성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저희 팀에서도 코드 안정성과 테스트를 고려해서 생성자 주입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요.
Q5. Spring Boot에서 빈(Bean)의 라이프사이클은?
의도: Spring 내부 동작 원리에 대한 이해도 테스트입니다.
모범 답변:
Spring Bean은 생성 → 의존성 주입 → 초기화 → 사용 → 소멸 단계로 진행됩니다. 초기화는 @PostConstruct, 소멸은 @PreDestroy 어노테이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도 제어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어노테이션 기반 방식이 선호됩니다.
3. 인프라/보안/최적화 관련 질문
Q6. JWT 인증 방식의 장점과 단점은?
의도: 인증/인가 방식의 이해도와 보안 감각을 파악하려는 질문이에요.
모범 답변:
JWT 인증은 세션을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토큰 자체에 사용자 정보를 담기 때문에 서버 간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토큰 탈취 시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HTTPS를 강제하고, 토큰 만료시간을 짧게 설정하고, Redis로 refresh token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실무에 적용하고 있어요.
Q7. Redis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했나요?
의도: 캐시 혹은 데이터 저장소로서 Redis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입니다.
모범 답변:
저는 Redis를 주로 인증 토큰 저장소, API Rate Limit, 임시 데이터 캐싱에 사용했습니다. 특히 JWT refresh token은 Redis에 저장해 사용자 로그아웃이나 강제 만료가 가능하도록 구현했습니다. 실무에서는 TTL 설정을 반드시 신경 써야 하며,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나면 OOM이 발생할 수 있어 모니터링도 같이 해야 합니다.
4. 문제 해결과 설계 능력을 보는 질문
Q8. 트래픽이 몰릴 때 어떻게 대응했나요?
의도: 문제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과 인프라 이해도를 평가하는 질문입니다.
모범 답변:
트래픽 폭주 상황에서는 우선적으로 CloudWatch와 Prometheus로 지표를 확인하고, 병목 지점을 파악합니다. 과거에 로그인 API에 요청이 몰리면서 DB에 부하가 간 적이 있었는데, 그때 Redis 캐시를 도입해 로그인 실패 횟수를 저장하고, DB 접근을 줄이는 방식으로 해결했습니다. 또 필요한 경우에는 Kubernetes HPA를 활용해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스케일 아웃하는 방법도 사용합니다.
Q9. API 응답 속도를 개선한 경험이 있나요?
의도: 성능 최적화 경험을 확인하는 질문입니다.
모범 답변:
상품 상세 조회 API에서 평균 응답 시간이 2초 이상이었는데, 쿼리를 fetch join으로 바꾸고, Redis 캐싱을 일부 도입하니 300ms 이하로 개선됐습니다. 또, 불필요한 데이터 변환 로직이 많았던 부분을 DTO 단에서 정리해 코드 흐름도 간결하게 만들었습니다.
마무리: 실무 면접에서 중요한 것들
면접은 단순히 지식 자랑이 아니라, 실제로 일하면서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보여주는 자리예요. 위에 정리한 질문들은 거의 모든 Java 백엔드 실무 면접에서 한두 개씩은 꼭 나오는 질문들이고, 그 안에 들어있는 의도를 이해하면 내가 어떤 식으로 경험을 녹여서 답변할 수 있을지 방향이 잡힙니다.
- Java, Spring Boot, Redis, JWT 인증, REST API 같은 키워드는 실제로 자주 언급되므로 준비 필수!
- 내가 직접 겪은 예시를 중심으로 말하는 것이 가장 설득력 있어요.
- 모르면 모른다고 솔직하게 말하되, "다음에 공부해보고 싶은 주제"로 연결해주는 것도 좋아요.
✅ 정리 요약
- HashMap vs ConcurrentHashMap → 멀티스레드 이슈와 성능
- REST API 설계 원칙: PUT vs PATCH 구분
- JPA의 N+1 문제 해결: fetch join, EntityGraph
- Spring의 DI 방식은 생성자 주입이 실무에서 선호됨
- JWT 인증은 Stateless하지만 보안에 주의 필요
- Redis는 인증, 캐싱, 임시저장소로 다양하게 활용
- 성능 문제는 쿼리, 캐시, 병목 구간을 중심으로 최적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감 한 번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
궁금한 면접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다음 글에서 이어가볼게요.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CP 서버란? LLM이 더 똑똑해지도록 돕는 외부 브레인 (1) | 2025.07.02 |
---|---|
커서(Cursor)를 써보고 나서, 진심으로 감탄했다 (0) | 2025.06.26 |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인텔리제이 단축키 정리 (0) | 2025.06.16 |
[TDD] TDD는 단순 테스트 코드가 아니었다 (1) | 2025.04.17 |
[k6] k6 사용법 & 실무 활용 방법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