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s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양방향 통신방식이다.
ws프로토콜은 한번 연결되면 연결을 끊지 않고 계속 유지" 한 상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따라서 서버 하나에 여러 클라이언트가 붙어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하는 서비스에 유용하다.
HTTP 통신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고 서버가 응답을 하면 바로 연결이 끊어진다.
ws 모듈
- ws 모듈이란?
: 간단한 웹소켓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이다.
- 참고: socket.io라는 모듈을 사용하면, WebSocket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도 여러가지 방식을 동원해 비슷하게 구현해준다.(+편의기능 제공)
- socket.io에 대한 글 참고:
[node.js
] socket.io 웹 소켓 모듈 기본 사용 방법
- ws사용 방법
기본 구조는 서버측 WebSocket과 클라이언트(브라우저)측 WebSocket이 통신을 하는 구조다.
서버측 WebSocket은 node.js환경에서 ws모듈을 통해 생성해 준다.
클라이언트측 WebSocket은 브라우저 환경에서 지원되는 WebSocket객체를 생성해 준다.
서버측 WebSocket 생성시, HTTP서버를 연결해주면 PORT를 공유하며 작동을 시작한다.
클라이언트측 WebSocket 생성시, 접속할 WebSocket서버 주소를 연결해주면 통신을 시작한다.
기본적인 연결 상태 체크와 데이터 송수신은 이벤트 기반으로 동작된다.
서버/클라이언트 연결시 connection이벤트가 발생하며,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마다 message이벤트가 발생한다.
Socket.io란?
Websocket을 기반으로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Node.js의 모듈! 입니다.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XT Error: Cannot find module 'node:fs' (3) | 2023.05.09 |
---|---|
Decoupled Architecture - 백엔드와 프론트엔드의 분리 (0) | 2023.04.11 |
SOCKET 통신 (1) | 2022.11.22 |
소켓(Socket) 포트(Port) 뜻과 차이 (1) | 2022.09.20 |
Web Server? WAS? (1) | 202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