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우당탕탕 AWS 학습기 - 클라우드 컴퓨터란?

curiousKidd 2023. 8. 31. 11:32
반응형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고, AWS를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유튜브 강의, AWS 공식 홈페이지의 기재되어 있는 정보를 스스로 판단하고 이해하니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언제든 오류사항에 대해서 댓글로 달아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fth0bK2MgIan-SzGpHIbfnCnjj583K2m
이 유튜브 강의가 진짜 좋습니다. 왜냐구요? 직접 들어보니 좋더라구요

 

AWS

Amazon Web Services (AWS)는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기업이나 개인이 IT 인프라를 구축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것
온디맨드란 수요에 반응한다는 뜻으로,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것을 뜻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종류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AWS, 네이버플랫폼 과 같은 인프라스트럭쳐를 제공하는 서비스.
  • 가상 서버 또는 스토리지, 가상 네트워크 등의 리소스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 사용자는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직접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통해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 할 수 있다. (AWS,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 IBM 소프트레이어 등의 업체들이 있다.)
  • 클라우드 IT의 기본 구성 요소 (네트워킹, 컴퓨터, 데이터 스토리지 공간)

▶ PaaS(Platform as a Service)

  • DB 또는 Application 서버 등의 이미 미들웨어를 제공한다.
  • 하드웨어/OS/미들웨어 에 대한 관리는 서비스 제공자가 하며, 사용자는 제공된 미들웨어만 사용 할 수 있다.
  • 주로 개발 환경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한다.(OS, DB, WAS, JDK)
  • 기본 인프라 (ex. 하드웨어와 운영 체제)를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 SaaS(Software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만 제공합니다. 네이버클라우드, 웹 메일, ERP 등과 같은 형태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

  • 초기 자본 비용을 아낄수 있다
    • 자본비용 => 가변비용
    • 데이터 센터 구축 비용, 서버 구매비용을 온전히 운영비만으로 변경할 수 있다
  • 규모의 경제로 얻게되는 이점이 있다
    • 1개를 사는 것보단 100개를 사는게 단가가 낮다 => 규모의 경제
    •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모든 고객과 공동구매를 하는 효과를 받을 수 있다
  • 속도 및 민첩성 개선
    • 단순한 조작으로 추가 리소스를 확보가능하다
    • 개발비용 절감 효과
  • 데이터 센터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 해당 운영비를 다른 자원으로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다
  • 전세계의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응형